교원초빙제도
특징
- 인터넷을 통한 접수 및 심사(오프라인 서류 제출 없음)
- 심사위원 위촉의공정성(전임교원 심사위원 위촉 시 공동연구자, 지도교수 등을 배재하고 교내 4명, 외부2명으로 구성)
- 기초심사, 전공심사, 교육능력심사의 합산을 통한 최종 면접 대상자 선정
- 인력 POOL 자료에 기반한 수시채용(특별채용) 시스템 구축
교원별 채용 심사단계
- 전임교원
| 단계 |
구분 |
심사대상 |
| 1단계 |
서류심사 |
지원자 전원 |
| 2단계 |
기초심사 |
서류심사 통과자 |
| 3단계 |
전공심사
|
최대 15배수 |
| 4단계 |
교육능력심사 (공개강의)
|
3~4명 |
| 5단계 |
면접
|
1명 |
- 강사 및 비전임교원
| 단계 |
구분 |
심사대상 |
| 1단계 |
서류심사 |
지원자 전원 |
| 2단계 |
기초/전공 통합심사 |
서류심사통과자 |
| 3단계 |
| 4단계 |
심층면접 (생략가능)
|
모집인원의 ½배수 추가 선발 |
| 5단계 |
- 서류심사 : 지원자의 자격요건 및 제출서류의 충족 여부 등을 심사
- 기초심사 : 정량적 평가 위주의 심사(교육, 연구 경력, 자격증, 연구실적의 양적 심사 등)
- 전공심사 : 정성적 평가 위주의 심사(전공일치도 심사, 연구실적의 질적 심사)
- 교육능력심사 : 공개강의 심사(주제발표, 영어발표, 학과 면접 심사 등)
- 면접 : 총장 면접 심사(자질 및 태도 심사)
* 강사 및 비전임교원은 관련 법령에 의거 심사 단계를 통합하거나 일부를 생략하여 심사 가능